[파워포인트] 돌고 도는 정당색…색깔의 정치학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선거 때가 되면 형형색색의 정당 현수막들이 거리 곳곳을 물들입니다.<br /><br />유권자 입장에서 보자면 동일한 정당인데, 선거 때마다 이름과 색깔이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요.<br /><br />정당 색깔에는 나름의 정치적 메시지가 담겨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팽재용 기자가 그 의미를 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선거를 앞두고 놓치지 말아야 할 정보, 파워포인트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오늘의 주제는 색깔의 정치입니다.<br /><br />각 정당에는 자신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색깔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눈에 확 띄는 원색이 많이 사용되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총선에 나서는 정당의 색을 보실까요.<br /><br />파랑과 밀레니얼 핑크, 녹색, 노란색 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더불어민주당은 그때와 같은 색을 유지했고 조금씩 영역을 넓히고 있는 정의당도 지난 14년에 바꾼 색을 그대로 사용합니다.<br /><br />미래통합당의 경우 보수 통합 과정에서 밀레니얼 핑크로 색을 바꿨는데요.<br /><br />새누리당과 자유한국당으로 이어져 온 붉은색의 이미지를 가져오면서 변화를 추구한 것입니다.<br /><br />10년 전만 해도 보수의 상징색은 파랑이었습니다.<br /><br />보수계열 정당은 1981년 민정당부터 2012년 한나라당까지, 30년 넘게 파란색을 써다가 새누리당을 창당하며 처음 빨간색을 썼습니다.<br /><br />이 때 내놓은 파란색을 민주당이 이듬해 가지고 와 지금에 이르렀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과 새누리당 모두 색깔 변화를 통해 쇄신 이미지를 담고자 했고, 직후 선거에서 공교롭게 나란히 성공을 거뒀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말이죠.<br /><br />선거 때마다 바뀌고 바뀐 '색깔 정치'는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, 우리나라 선거의 특징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경우 공화당은 빨강 민주당은 파랑이라는 공식이 있는데, 이는 정당 스스로가 아니라 언론사가 붙여준 것이라고 합니다.<br /><br />양당을 구분하기 위해 임의로 정한 것이죠.<br /><br />두 정당의 상징은 코끼리와 당나귀인데요.<br /><br />성조기에 있는 빨강과 파랑을 함께 넣어서 그려진 게 대다수입니다.<br /><br />당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바꿀 수 있는 정당색은 사실 정치의 본질은 아닙니다.<br /><br />중요한 것은 정당의 강령과 정책 등 그 알맹이겠죠.<br /><br />만약 겉만 바꾼 것이라면 어쩌면 꼼수일테죠.<br /><br />정치권도 유권자도 기억해야 할 부분이지 싶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파워포인트였습니다. (paengman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